by 배희철(유밸안과,안과전문의,예방의학박사)

🔍 노안 및 백내장 수술을 고려하는 이들에게 최신 다초점 인공수정체 렌즈 선택은 중요한 고민거리입니다. 최근 주목받는 호야(HOYA)의 비비넥스 지메트릭(Vivinex Gemetric) 렌즈가 등장하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비넥스 지메트릭 렌즈의 특징과 임상적 평가를 상세히 알아보고, 적합한 환자군 및 대안 제품까지 비교해드리겠습니다.
- 비비넥스 지메트릭 렌즈 주요 특징 📊
💡 회절링 최소화 설계(8개, 중심 3.5mm 이내)
- 기존 회절형 다초점 렌즈는 15개 이상의 회절링이 일반적이지만, 지메트릭은 8개만 적용해 빛번짐(halo, glare)을 줄였습니다.
💡 굴절형+회절형 하이브리드 디자인
- 렌즈 중심부만 회절형, 외곽은 굴절형으로 설계해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은 강화했으나, 중간거리 시력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입니다.
💡 빛 손실 최소화(7%대)
-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해 빛 손실을 7%대로 낮췄습니다. 이는 기존 회절형 다초점 렌즈 대비 우수한 수준으로, 대비감도와 야간 시력에 유리합니다.

💡 가우시안 기법 적용
- 초점 전환이 부드럽게 이어지도록 설계돼, 연속적인 시야 흐름이 자연스럽습니다.
💡 글리스닝 0등급 친수성 아크릴릭 재질
- 장기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대비감 저하 및 빛 산란 문제가 거의 없는 최고급 소재가 사용되었습니다.
💡 난시 교정형(토릭) 동시 출시
- 렌즈 후면 특수 처리로 안정적인 회전 억제 설계가 적용돼 난시 교정에도 효과적입니다.

💡 멀티서트(multiSert) 프리로드 시스템
- 수술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프리로드된 멀티서트 인젝터 시스템이 적용되어 안정적이고 정확한 삽입이 가능합니다.

💡 HOYA Vivinex 플랫폼 기반
- 활성산소처리 공정(Active Oxygen Processing Treatment)과 매끄러운 광학 표면, 각진 광학부 엣지로 후발백내장(PCO) 발생률을 낮춘 안정적인 Vivinex 플랫폼이 적용되었습니다.
💡 텍스처드 러프 해프틱 디자인
- 해프틱 표면에 미세한 거친 질감을 적용해 수정체낭 내에서 안정적인 고정과 회전 억제를 유도합니다.
💡 비구면 광학 설계
- 비구면(aspheric) 디자인으로 상의 질 향상 및 수차 보정 효과를 극대화해 선명한 시력을 제공합니다.
💡 비비넥스 지메트릭 플러스(GP) 모델

- 비비넥스 지메트릭(G)과 비비넥스 지메트릭 플러스(GP)는 동일한 가입도(근거리 +3.5D, 중간거리 +1.75D)를 가지지만, 빛 에너지 분포에 차이가 있습니다.
- G 모델: 원거리 시력 강조
- GP 모델: 원거리와 근거리 빛 에너지 균형 분배로 근거리 강화
- 두 렌즈 모두 회절구역(3.2mm)과 1μm 스텝 높이를 가지며, 빛 효율 90% 이상 유지
- 빛 투과율과 근거리 가입도의 역할 📊
💡 빛 투과율(Light Transmission)
- 눈에 들어온 빛 중 망막에 도달해 실제로 시야를 형성하는 비율입니다. 단초점 렌즈는 96~98% 수준이나, 다초점 렌즈는 빛 분산으로 인해 85~93% 수준입니다.
- 빛 투과율이 높으면 대비감도와 야간 시력이 유지되며, 낮고 손실률이 10% 이상이면 야간 시력 저하 및 빛번짐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비비넥스 지메트릭 렌즈는 93%로, PanOptix(88%)보다 우수하여 야간 대비감도가 뛰어납니다.
💡 근거리 가입도(Near Addition Power)
- 원거리 초점과 근거리 초점 간 도수 차이를 의미합니다. +2.5D ~ +4.0D까지 있으며, 도수가 높을수록 근거리(25~35cm)가 잘 보입니다.
- 동아시아권은 스마트폰, 독서 등 근거리 작업 비중이 높아 +3.5D 이상 선호 경향이 강합니다.
- 비비넥스 지메트릭 렌즈는 +3.5D로, 근거리 작업 만족도가 높은 편입니다.

- 임상적 장단점 분석 📊
💚 장점
- 빛번짐 최소화: 팬옵틱스보다도 halo, glare 등 광학적 부작용이 적다는 평가
- 원거리/근거리 우수: 근거리 시력(J1, 30cm)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원거리는 굴절형 디자인으로 선명도 확보
- 재질적 안정성: 글리스닝 방지 및 난시 교정 시 회전 안정성 확보
- 안정된 캡슐백 내 고정력: 러프 해프틱 및 안정적인 프리로드 시스템 적용
- 실사용 데이터 일치: 임상시험 결과와 실제 현장 결과(350안 분석, CLEARlog 시스템) 모두 빛번짐 낮고 안경 의존도 감소, 높은 환자 만족도 확인
🔴 단점
- 중간거리(60~80cm) 약화: 컴퓨터 작업, 주방 업무 등 중간거리 비중이 높은 환자군에서 불편감 발생 가능
- 색감 차이 가능성: 초기 노란색 착색감으로 인해 디자인, 사진 등 색 정확성이 중요한 직업군은 민감할 수 있음
'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1 🌙 야간 시력 안정성 중시!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인공수정체 선택 및 수술 경과(2025) - 퓨어씨 인공수정체 후기 (0) | 2025.02.20 |
---|---|
030 🩺 2025년 인텐시티 인공수정체 선택 및 수술 경과 – 난시 교정과 시력 질 향상까지 (0) | 2025.02.20 |
028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시력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0) | 2025.02.17 |
027 근거리 작업 중심 백내장 수술 성공 사례 – 렌즈 선택의 중요성 (0) | 2025.02.13 |
026 고도 난시 백내장 수술 성공 사례 – 렌즈 선택의 중요성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