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

017 염증과 질환: 대장 용종, 황반변성, 녹내장의 병태생리적 연관성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1. 서론 만성 염증은 다양한 질환의 근본적인 병태생리로 작용합니다. 대장 용종, 황반변성, 녹내장은 서로 다른 기관에서 발생하지만, 지연성 과민반응 및 염증성 스트레스가 공통된 기전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본 글에서는 이들 질환의 병태생리를 비교하고, 공통된 원인과 해결책을 분석합니다. 2. 대장 용종과 만성 염증2.1 대장 용종의 발생 기전대장 용종은 대장 점막에 비정상적인 조직 증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일부는 시간이 지나면서 암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지연성 과민반응(Delayed-Type Hypersensitivity, DTH): IgG4 매개 면역 반응이 장기간 지속되면, 장내 만성 염증을 유발하여 용종 형성..

안과 2025.02.04

016 황반변성 발생 이유 : 황반부 구조적, 생화학적 취약성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1. 🏥 황반부의 구조적 & 생화학적 취약성1.1 👁️ 황반과 중심와의 기능적 역할 황반(macula)은 망막의 중심부로, 고해상도 시력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황반의 중심에는 중심와(fovea)가 위치하며, 이는 시세포(광수용체)가 가장 밀집된 곳으로 세밀한 시각 인식과 색상 감지를 담당합니다. 중심와에는 **추상체(cones)**가 집중되어 있으며, 명확한 색채 구분과 정밀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그러나 황반과 중심와는 신경조직(neural tissue)으로 감수분열이 끝난 상태이므로, 세포 손상이 발생하면 재생이 어렵고 회복이 제한적입니다. 이러한 생리적 한계는 다양한 퇴행성 변화와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높입니다...

안과 2025.02.04

015 황반변성: 루테인과 지아잔틴을 통한 망막 보호법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1. 황반변성이란?🔍 황반변성의 정의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macula)에 퇴행성 변화가 생겨 시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황반은 중심와(fovea)를 포함하는 망막 중심부로, 주요 혈관 아치가 이를 둘러싸고 있으며, 여기에 발생하는 다양한 병리적 변화를 총칭하여 황반변성이라고 합니다.황반변성에는 중심성 장액성 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R), 망막앞막(Epiretinal Membrane, ERM), 유전적 질환 및 **다양한 병리적 상태(pathologic conditions)**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

안과 2025.02.03

014 녹내장: 안압 조절과 혈류 개선 전략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1. 들어가며: 녹내장의 중요성  녹내장은 시신경이 손상되면서 시야가 점점 좁아지는 진행성 질환으로, 실명에 이를 수 있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안압 상승이 대표적인 위험 요소로 여겨졌지만, 한국인의 경우 대부분 정상안압 녹내장(NTG, Normal-Tension Glaucoma)으로 진단됩니다. 따라서 단순히 안압 조절만을 녹내장의 주요 원인으로 다루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시신경 혈류 장애, 전신 염증, 장 건강과의 연관성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Glial Cell(신경아교세포) 염증, 그리고 혈류 장애 등이 정상안압 녹내장의 주요한 ..

안과 2025.02.03

013 백내장: 산화 스트레스와 항산화 영양소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1. 들어가며: 백내장의 원인과 중요성백내장은 노화, 유전적 요인, 당뇨병, 자외선 노출, 흡연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질환입니다. 이 중에서도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백내장 형성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산화 스트레스는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가 과도하게 축적되어 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수정체 단백질과 지질을 변형시켜 혼탁을 유발합니다. 백내장은 주로 노년기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유아기, 청소년 및 젊은 성년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유전적 요인의 영향뿐만 아니라 만성 염증성 질환(아토피, 포도막염), 스테로이드 사용..

안과 2025.02.03

012 근시 진행을 늦추는 생활 습관과 영양 관리 🧐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1. 들어가며: 근시 관리의 중요성 근시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에게서 그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근시가 심해지면 망막 박리, 녹내장, 황반변성 등 심각한 안과 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생활 습관과 영양 관리를 통해 근시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근시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과 영양 관리법을 과학적 근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 근시 진행을 늦추는 생활 습관 🏃‍♂️📌 2.1 야외 활동 늘리기 ☀️하루 최소 2시간 이상 야외에서 활동하는 것이 근시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햇빛은 도파민 분비를 촉진하여 안구 성장 억제에 도움을 줍니다.🔹 연구 사례:한 연구에 따르면, 하루 ..

안과 2025.02.03

011 근시, 원시, 난시: 시력 저하의 기능의학적 원인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 시력 저하, 단순한 굴절 문제일까?많은 사람들이 시력이 나빠지면 단순히 안경이나 렌즈를 맞추면 해결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적절한 교정을 받아도 기대만큼 시력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근시(myopia), 원시(hyperopia), 난시(astigmatism)의 문제를 넘어서 기능의학적 원인과 양안시(binocular vision) 기능의 이상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시력 저하의 기능의학적 원인1. 굴절 이상과 시각 시스템의 복합 작용 근시, 원시, 난시는 개별적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종종 서로 융합되어 나타나며 양쪽 눈의 상태가 다를 수도 있습니다. 시력 저하는 단순히 안경 도수로만 설명될..

안과 2025.02.02

010 눈의 면역 체계 – 자가면역 질환과 안과 및 뇌 건강의 관계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1. 개요📌 목표✅ 자가면역 질환이 면역 체계를 어떻게 교란시키고 눈 건강 및 뇌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한다.✅ 장내 미생물과 면역 체계의 관계 및 시각 처리와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녹내장, 베체트병과 Klebsiella pneumoniae의 연관성을 설명한다.✅ 면역 역치(threshold) 개념과 자가면역 질환이 활성화되는 요인을 분석한다.✅ 기능의학적 접근을 통해 면역 균형을 유지하고 눈과 뇌 건강을 보호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핵심 질문자가면역 질환이 눈과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장내 미생물과 면역 체계가 자가면역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녹내장, 베체트병과 Klebsiella pn..

안과 2025.02.02

009 눈과 장축(Gut-Eye Axis) 관계 – 기능의학에서의 시력과 소화 건강의 연관성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1. 개요📌 목표✅ 장내 미생물과 눈 건강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한다.✅ 장내 신경계와 자율신경계가 눈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녹내장의 관계를 설명한다.✅ 장내 미생물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대변 검사, 소변 유기산 검사)을 이해하고 활용한다.✅ 기능의학적 접근을 통해 소화 건강과 시력을 동시에 보호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핵심 질문장내 미생물은 어떻게 눈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가?자율신경계와 장-눈 축(Gut-Eye Axis)의 관계는 무엇인가?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녹내장 발병의 연관성은?장내 미생물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기능의학적 접근을 통해 장과 눈 건강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은?2. 장과 눈의..

안과 2025.02.02

008 전자기기 사용과 블루라이트 – 망막 건강의 위협 요인 및 상승 인자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1. 개요 (5분)📌 목표✅ 블루라이트가 망막(특히 중심와)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눈을 통한 블루라이트의 경로 및 감쇠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만성 염증, 스트레스, 흡연, 음주, 영양소 부족이 블루라이트 손상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분석한다.✅ 기능의학적 접근을 통해 블루라이트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핵심 질문블루라이트는 어떻게 망막 손상을 유발하는가?블루라이트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상태는 무엇인가?만성 염증, 스트레스, 흡연, 음주, 영양소 부족이 어떻게 블루라이트 손상과 상승 작용을 일으키는가?기능의학적 접근을 통해 블루라이트의 부작용을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가?2. 블루라이트의 특성과 전자기기 사용 증가 ✅  블루라이트란..

안과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