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
1. 들어가며: 녹내장의 중요성
녹내장은 시신경이 손상되면서 시야가 점점 좁아지는 진행성 질환으로, 실명에 이를 수 있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안압 상승이 대표적인 위험 요소로 여겨졌지만, 한국인의 경우 대부분 정상안압 녹내장(NTG, Normal-Tension Glaucoma)으로 진단됩니다. 따라서 단순히 안압 조절만을 녹내장의 주요 원인으로 다루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시신경 혈류 장애, 전신 염증, 장 건강과의 연관성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Glial Cell(신경아교세포) 염증, 그리고 혈류 장애 등이 정상안압 녹내장의 주요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녹내장 환자에서 치매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어, 신경퇴행성 질환과의 연관성도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본 글에서는 정상안압 녹내장의 주요 원인과 최신 연구, 혈류 개선 전략, 생활 습관 관리 등을 과학적 근거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2. 정상안압 녹내장과 주요 원인 🧬
📌 2.1 정상안압 녹내장이란?
정상안압 녹내장은 안압이 정상 범위(10~21 mmHg)임에도 불구하고 시신경이 손상되는 녹내장의 형태입니다. 이는 시신경 혈류 부족, 신경염증, 그리고 전신적 대사 이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근거 문헌:
- Kim KE, Park KH. Update on the prevalence, etiology, diagnosis, and monitoring of normal-tension glaucoma. Asia Pac J Ophthalmol (Phila). 2016;5(2):1-9.
📌 2.2 정상안압 녹내장의 주요 위험 요인
✅ 시신경 혈류 장애
- 혈관 수축 및 혈액 공급 저하로 인해 시신경이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함
- 자율신경계 이상으로 인해 야간 저혈압 발생 가능성이 높음
- 미세혈관 손상(당뇨병, 고지혈증 등과 관련)

📖 근거 문헌:
- Flammer J, Mozaffarieh M. What is the present pathogenetic concept of glaucomatous optic neuropathy? Surv Ophthalmol. 2007;52(6):S162-S173.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장 건강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감염은 전신 염증 반응과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시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음
-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은 장 내벽이 손상되어 독소와 염증 유발 물질이 혈류로 유입됨 → 시신경 염증 유발 가능
📖 근거 문헌:

- Kountouras J, et al.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laucoma. Ophthalmology. 2001;108(4):752-759.
✅ Glial Cell(신경아교세포) 염증
- 신경아교세포(Glial Cell)는 중추신경계에서 신경 보호 및 면역 조절 역할을 담당
- 만성 염증 상태가 지속되면 Glial Cell이 과활성화되며 시신경을 공격하는 염증 반응을 일으킴

📖 근거 문헌:
- Tezel G. The role of glia, mitochondria, and the immune system in glaucoma. Exp Eye Res. 2009;88(4):631-640.
✅ 녹내장과 치매의 연관성
- 연구에 따르면 녹내장 환자는 치매 발생 위험이 일반인보다 1.5~2배 높음
- 이는 신경퇴행성 변화, 혈류 장애, 그리고 염증 반응의 공통 기전 때문일 가능성이 큼
- 특히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녹내장이 더 빈번하게 발견됨

📖 근거 문헌:
- Tamura H, et al. High prevalence of open-angle glaucoma in Japanese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J Neurol Sci. 2006;246(1-2):79-83.
3. 안압 조절 및 혈류 개선 전략 💉
📌 3.1 안압 조절 방법
✅ 약물 치료
-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라탄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 방수 배출 촉진
- 베타 차단제 (티몰롤) → 방수 생성 억제
- 알파 작용제 (브리모니딘) → 방수 생성 감소 및 배출 증가
📖 근거 문헌:
- Weinreb RN, Khaw PT. Primary open-angle glaucoma. Lancet. 2004;363(9422):1711-1720.
✅ 혈류 개선 방법
- 오메가-3 지방산 섭취 (연어, 고등어, 호두) 🐟
- 루테인 및 제아잔틴 (시금치, 케일) 🥬
- 운동 및 생활 습관 개선 (걷기, 요가) 🏃♂️
📖 근거 문헌:
- Harris A, et al. Vascular risk factors in glaucoma: the role of endothelial dysfunction. Eur J Ophthalmol. 2013;23(5):647-655.
4. 결론 ✨
정상안압 녹내장은 단순한 안압 문제를 넘어 혈류 장애, 신경염증, 장 건강 이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헬리코박터 감염, Glial Cell 염증, 그리고 녹내장과 치매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오늘부터 실천할 3가지
- 장 건강을 위한 항염증 식단 및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
- 혈류 개선을 위한 유산소 운동 및 심호흡 훈련 🏃♂️
- 정기적인 안과 및 전신 건강 검진 받기 👁️
꾸준한 관리가 건강한 시력을 지키는 열쇠입니다! 😊
'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6 황반변성 발생 이유 : 황반부 구조적, 생화학적 취약성 (0) | 2025.02.04 |
---|---|
015 황반변성: 루테인과 지아잔틴을 통한 망막 보호법 (0) | 2025.02.03 |
013 백내장: 산화 스트레스와 항산화 영양소 (0) | 2025.02.03 |
012 근시 진행을 늦추는 생활 습관과 영양 관리 🧐 (1) | 2025.02.03 |
011 근시, 원시, 난시: 시력 저하의 기능의학적 원인 (2)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