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025 장 건강이 눈과 뇌와 긴밀하다고?

eye2brain 2025. 2. 10. 12:30

 

by 배희철(유밸안과,안과전문의,예방의학박사)

다양한 장내 미생물군

1. 기능의학과 장-눈 축(Gut-Eye Axis)

 

기능의학에서는 장 건강이 전신 건강의 핵심이라는 개념을 강조합니다. 장-뇌 축(Gut-Brain Axis)과 유사하게 장-눈 축(Gut-Eye Axis)이 존재하며, 장 건강이 눈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음식물은 몸이 외부와 만나는 주요 통로이자 연결 매체이기도 합니다. 또한 장내 세균은 체세포 수보다 더 많이 존재하며 몸의 항상성 형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장-눈 축의 주요 기전

  1. 장내 미생물군(Gut Microbiota)과 면역 조절
    • 장내 유익균은 조절 T세포(Treg)를 활성화하여 전신 면역 균형을 유지합니다. 
    • 장내 균형이 깨지면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TNF-α, IL-1β)이 증가하여 눈의 염증 반응을 유발합니다.
  2. 장누수증후군(Leaky Gut Syndrome)과 전신 염증
    • 장 점막이 손상되면 LPS(지질다당류) 등 독소가 혈류로 유입되어 만성 염증을 유발합니다.
    • 이는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포도막염 등 염증성 안과 질환을 악화시킵니다.
  3. 영양소 흡수와 미세혈관 건강
    • 장내 건강이 나쁘면 비타민 A, 루테인, 오메가-3 등의 흡수가 감소하여 망막 및 각막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줍니다.
    • 미세혈관 손상은 망막전막, 녹내장, 황반변성과 관련이 깊습니다.

2. 안과 질환별 기능의학 4R 적용 및 근거

1) 백내장(Cataract)과 장 건강의 연관성

🔹 백내장은 산화 스트레스 및 당 대사 장애와 관련됨

  • 장 건강이 나쁘면 항산화 시스템이 약화되어 산화 스트레스 증가
  • 혈당 조절 장애(당독소, AGE 증가) → 당뇨성 백내장 위험 증가

🛠 4R 적용
제거(Remove): 당독소(AGEs) 생성 줄이기 → 저탄수화물·항산화 식단
보충(Replace): 루테인, 비타민 C·E, 글루타티온
복구(Reinoculate):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 장내 항산화 균주 증식
균형(Rebalance): 혈당 조절을 위한 식습관 및 규칙적인 운동

 

📌 연구 근거

  • 항산화 비타민 보충이 백내장 진행을 늦춘다는 연구(Arch Ophthalmol, 2008)
  •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당뇨와 관련되며, 이는 백내장 진행을 촉진(Front Endocrinol, 2020)

2) 노안(Presbyopia)과 장 건강

🔹 노안은 수정체 탄력성 감소 및 혈액 공급 저하와 관련됨

  • 장내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세포 노화 촉진
  • 혈관 내피 기능 저하 → 눈으로 가는 혈류 감소

🛠 4R 적용
제거: 가공식품·트랜스지방 줄이기 → 산화 스트레스 감소
보충: 오메가-3, 비타민 C·E, 아스타잔틴 보충
복구: 장 건강 회복 → 장내 항산화 균주 증식
균형: 혈류 개선을 위한 유산소 운동 병행

 

📌 연구 근거

  • 산화 스트레스가 노안을 가속화(Exp Eye Res, 2018)
  • 혈류 공급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노안이 심해짐(Invest Ophthalmol Vis Sci, 2016)

3) 안검염(Blepharitis) 및 건조증과 장 건강

🔹 만성 안검염은 장내 염증과 직접적으로 연관됨

  • 장 건강이 나쁘면 면역 조절 기능이 약화 → 마이봄샘 기능저하(MGD) 증가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안검염 및 건조증과 연관됨(J Clin Med, 2021)

🛠 4R 적용
제거: 헬리코박터 감염 치료 및 항염증 식단
보충: 오메가-3, MSM(메틸설포닐메탄), 비타민 D
복구: 프로바이오틱스 보충 및 프리바이오틱스 섭취
균형: 수면·스트레스 조절 → 눈물샘 기능 회복

 

📌 연구 근거

  • 헬리코박터 감염이 만성 안검염과 연관됨(J Clin Med, 2021)

4) 녹내장 및 노인 황반변성(AMD)과 장 건강

🔹 혈류 장애 및 만성 염증이 핵심 원인

  • 장내 균형이 깨지면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 증가 → 망막 혈류 저하
  • 장내 미생물군과 녹내장 진행의 연관성 확인(Invest Ophthalmol Vis Sci, 2022)

🛠 4R 적용
제거: 염증 유발 식품 제거 (가공식품, 정제당)
보충: 루테인·제아잔틴·레스베라트롤·오메가-3
복구: 프로바이오틱스 및 프리바이오틱스 보충
균형: 유산소 운동 및 스트레스 조절

 

📌 연구 근거

  • 장내 미생물이 녹내장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발표(IOVS, 2022)
  • 루테인과 제아잔틴 섭취가 황반변성 진행을 늦춘다는 연구(AREDS2, JAMA, 2013)

결론: 기능의학적 접근을 통한 안과 질환 예방 및 치료 전략

✔️ 장 건강이 안구 건강과 직결됨
✔️ 염증, 산화 스트레스 및 혈류 장애를 줄이는 것이 핵심
✔️ 기능의학 4R(제거, 보충, 복구, 균형) 접근법을 실천하면 백내장, 노안, 안검염, 녹내장, 황반변성 진행을 늦출 수 있음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기능의학적 관점에서 눈 건강을 유지하는 실질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