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ILE 수술의 진화]
Ziemer Z8 [CLEAR] 수술이 안정성의 판도를 바꾸는 이유
by 배희철(유밸안과,안과전문의,예방의학박사)
🧭 수술대 위의 한 순간, 모든 것은 ‘움직임’에 달려있다
“잠깐 움직이셨습니다. 아 ~~ 아쉽네요 ! ”
수술 중 흔히 들리는 말이지만, 레이저 각막 수술에서는 ‘잠깐’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각막 실질을 절삭하고 렌티큘(lenticule)을 제거하는 SMILE 또는 KLEX 수술에서는, 눈의 미세한 회전이나 각막의 비틀림조차 렌티큘 두께의 불균형, 축이탈(astigmatic axis deviation), 나아가 **suction loss(흡입 손실)**이라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Ziemer사의 Z8 을 이용한 CLEAR 수술은 이 문제를 사실상 **“물리적으로 원천 차단”**하는 기계입니다.
먼저, 용어부터 정리하겠습니다. '라식', '라섹'은 이제는 고유명사화된 레이저시력교정수술 방버입니다.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합니다. 근래 들어, 펨토초 레이저가 각막굴절교정수술에 도입되어서는 각막의 표층의 신경과 치밀조직을 보존하고 실질층에서 작은 볼록렌즈 모양(Small Lenticule)을 만들어 빼는 방식(Extraction)으로 시력교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Zeiss사에서 SMILE(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라고 명칭을 가장 먼저 사용하다보니, '스마일, SMILE'수술이 이제 고유명사화 된듯 합니다. 다만, 2024년 유럽각막굴절수술학회(ESCRS)에서는 'KLEX', 즉 각막 렌티큘 제거술로 용어가 통일되고 있었습니다.
🧠 SMILE 수술에서 ‘움직임’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 핵심 기술 포인트: Flat Contact Cone 구조의 물리적 고정
기존 VisuMax는 펨토레이저와 각막표면 사이에 어뎁터 역할을 하는 곡면형 콘(contact cone)을 사용합니다. 이 콘이 눈과 접촉하는 방식은 곡률이 있는 접촉면으로 각막과 일정한 압력만 유지하며 고정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약점을 가집니다:
- 안구 축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접촉 압력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음
- 눈이 흡입 후에도 미세하게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음
- Suction loss 발생률 존재: 최대 5.06%, 평균 0.5%
💡 그러나 Z8은 전혀 다릅니다.
🧷 Z8의 구조적 차별성: 각막을 ‘움직일 수 없게’ 만든다
✅ Flat Interface Cone = 수술 안정성의 게임 체인저
Ziemer Z8은 **완전한 평면 접촉면(flat interface)**을 갖습니다.
이는 단순한 디자인 차이가 아니라 정확한 물리적 고정 장치입니다.
🧩 작동 원리:
- 콘이 수직 방향으로 평면 진입
- 각막 전체를 압평(flattening)하여 고정
- 압력의 편차 없이 전체 표면을 ‘플랫’하게 고정
- 결과적으로 눈이 움직일 수 없도록 만듦
🔒 즉, 각막이 눌리며 “움직일 여지 자체가 제거”되는 구조입니다.
눈이 도는 것, 흔들리는 것조차 불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suction loss는 이론적으로 발생할 수 없습니다.
🧬 임상적 진화: 수술 중 회전 제로 → 축 정확도 100%
난시를 교정할 때 가장 중요한 건 ‘축’입니다.
한 번 틀어지면, 시력 교정 효과는 반감됩니다.
VisuMax로 SMILE수술을 하다 보면, 때때로 렌티큘 절삭은 정교했지만, 절삭 축이 눈의 미세 회전 때문에 벗어난 경우가 있었습니다. 결과는 불만족스러운 교정률.
👁️ 하지만 Z8은 평면 고정 방식 덕분에 눈의 회전축이 물리적으로 고정되며, 축이탈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또 하나의 무기 : 각막 접촉후 수술자의 개입으로 더 정교한 수술 가능
VisuMax로 스마일 수술을 하다 보면, 일단 콘을 눈에 접촉시키고 나면 중심에서 약간의 이탈이 있거나, 난시 축 정렬이 안된 경우 콘의 압력을 해제하고 다시 눈과 접촉해서 맞추어야 합니다. 첫 접촉에 잘 맞으면야 좋겠지만, 눈이 작거나 불안해서 자주 움직이는 환자의 경우는 수차레 반복해서 정렬을 맞추어야 합니다.
그러나 Z8 CLEAR 스마일수술시에는 일단 콘을 접촉시켰다고 해도, 미세하게 어긋난 중심축 또는 난시 축을 그 상태 그대로 콘을 두고 터치스크린으로 보정할 수 있습니다. 기술력에서 차이가 나는 부분입니다.
🧭 결정적 차별화된 무기: 수술 중 실시간 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Z8이 제공하는 또 하나의 핵심 기술은 수술 중 실시간 OCT 영상입니다.
- 절개창(entry incision)을 어디에 만들지,
- 환자의 눈에서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위치가 어디인지,
- 렌티큘 절제가 각막 층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수술 전에 미리 볼 수 있습니다.
📡 시각적 네비게이션이 제공되므로,
수술자는 **“눈 감고 찍는 수술”**이 아니라 **“보고 정확한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 사례: 고도 근시 난시 환자, 정확한 축 고정의 차이
- 환자: 정모 씨 (31세 여성), -6.75D 근시 + -2.25D 난시
- 수술 1안 (VisuMax SMILE):
- 수술 후 1개월, 잔여 난시 0.75D
- 축이탈 추정
- 수술 반대안 (Z8 CLEAR):
- 수술 직후 잔여 난시 0D, 시력 1.2
- 축 정렬 완벽, 회복 속도 빠름
🎯 주치의 소견:
“Z8에서의 평면 접촉 구조는 눈이 움직일 수 없도록 만들기 때문에, 정밀 난시 교정에 있어 훨씬 신뢰가 갑니다. 특히 1~2D 이상의 난시 환자에겐 Z8이 필수입니다.”
📦 핵심 요약
접촉 방식 | 곡면형 콘 (Curved) | 평면 콘 (Flat Contact) |
Suction Loss | 평균 0.5% 보고 | 거의 0% (이론상 불가) |
축이탈 가능성 | 있음 (회전 가능) | 불가능 (회전 고정) |
실시간 영상 | 없음 | OCT 영상 제공 |
절개 위치 조정 | 제한적 | 사전 확인 및 조정 가능 |
💬 ‘장비’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예후를 결정하는 요소 !
Ziemer Z8은 단순한 레이저 장비가 아니라, 시력 교정 수술의 안전성과 정밀성을 완전히 재정의한 기술입니다.
- 각막 평면 고정으로 눈의 움직임 자체를 차단
- 실시간 OCT로 수술자가 시각적 피드백을 받고
- suction loss 가능성 자체를 원천 봉쇄
👉 그래서 Z8은 단지 “좋은 장비”가 아니라, **“실패 없는 수술의 조건”**이라 불립니다.
🎯 지금 행동하세요
- 스마일 수술을 고려 중이라면, Z8 장비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눈이 ‘움직이지 않게’ 잡아주는 시스템이 있는 병원에서 수술 받으세요
- 고도 난시나 축 정렬이 중요한 경우엔 Z8이 유일한 선택지일 수 있습니다
🔗 참고자료
- Moshirfar M, et al. "Suction Loss During SMILE and FLEx Procedures: Incidence and Management", Clin Ophthalmol. 2021.
- Ziemer Ophthalmic Systems AG. "Z8 Platform Surgical White Paper", 2023.
- Kymionis GD, et al. "Comparison of suction stability between femtosecond laser platforms", J Refract Surg. 2022.
'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4 스마일 라식 후 빠른 회복 비법, 지금 공개합니다 ! (0) | 2025.05.20 |
---|---|
053 펨토레이저 장비의 선택 : 기술력인가, 인지도일까? (0) | 2025.05.19 |
051 눈의 건강이 뇌를 지킨다: 눈과 치매 예방의 연결고리 (0) | 2025.04.24 |
050 뇌신경 질환과 미토콘드리아 이식술: 알츠하이머와 파킨슨 병의 New 희망! (0) | 2025.04.24 |
049 미토콘드리아 이식술, 시력과 뇌 건강의 새 희망 !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