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1 근시, 원시, 난시: 시력 저하의 기능의학적 원인
by 배희철(유밸안과, 안과전문의, 예방의학박사)
💡 시력 저하, 단순한 굴절 문제일까?
많은 사람들이 시력이 나빠지면 단순히 안경이나 렌즈를 맞추면 해결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적절한 교정을 받아도 기대만큼 시력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근시(myopia), 원시(hyperopia), 난시(astigmatism)의 문제를 넘어서 기능의학적 원인과 양안시(binocular vision) 기능의 이상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 시력 저하의 기능의학적 원인
1. 굴절 이상과 시각 시스템의 복합 작용
근시, 원시, 난시는 개별적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종종 서로 융합되어 나타나며 양쪽 눈의 상태가 다를 수도 있습니다. 시력 저하는 단순히 안경 도수로만 설명될 수 없는 복잡한 기능의학적 원인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근시 (Myopia)
근시는 가까운 것이 잘 보이고 먼 것이 흐릿하게 보이는 상태로, 주된 원인은 안구의 축 길이가 길어져 빛이 망막 앞쪽에서 초점을 맺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능의학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관여할 수 있습니다.
- 근거리 작업 과다: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사용 증가로 인해 눈의 조절근(ciliary muscle)이 지속적으로 긴장함
- 자가면역 반응: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공막의 신장성 변화를 유발하여 근시를 심화시킬 수 있음
-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 망막 및 안구 조직의 대사 저하로 인한 근시 진행
✅ 원시 (Hyperopia)
원시는 먼 곳이 상대적으로 잘 보이지만, 가까운 것이 흐릿한 상태입니다. 주된 원인은 안구의 축 길이가 짧아 망막 뒤쪽에서 초점이 맺히기 때문입니다.
- 조절 기능 이상: 눈의 조절력이 부족하여 근거리에서 쉽게 피로가 누적됨
- 영양 불균형: 비타민 A, D, 마그네슘 부족이 시신경 및 조절근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음
- 신경계 불균형: 미주신경 활성 저하로 인해 눈의 혈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
✅ 난시 (Astigmatism)
난시는 각막 또는 수정체의 비정상적인 곡률로 인해 초점이 여러 개 형성되는 상태입니다.
- 각막 구조의 불균형: 외상, 유전적 요인, 안압 변화 등이 난시를 유발할 수 있음
- 눈 주변 근육의 과긴장: 외안근의 비대칭적 긴장으로 인해 난시가 심화될 수 있음
- 신체 정렬 문제: 목과 턱의 정렬이 흐트러지면 시각 정보 처리에도 영향을 미침
📌 양안시 기능과 교정 시력 문제
굴절 이상의 교정을 받아도 여전히 시력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 양안시 기능 저하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양안시 기능이란 두 눈이 협응하여 하나의 입체적인 시야를 형성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 양안시 기능 저하의 원인
- 조절 기능 장애 (Accommodative Dysfunction): 조절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시야가 흐려지는 현상
- 사시 및 사위 (Strabismus & Phoria): 두 눈의 정렬이 맞지 않아 양안이 협응하는 능력이 떨어짐
- 입체시 저하 (Stereopsis Deficit): 깊이 지각이 어려워지는 현상
- 안구 운동 장애 (Oculomotor Dysfunction): 추적 운동 및 도약 운동이 원활하지 않아 시각 피로 증가
- 시각 정보 처리 장애: 뇌에서 시각 정보를 효과적으로 해석하지 못하는 경우
✅ 양안시 기능 저하가 미치는 영향
- 시력 저하 및 눈 피로: 장시간 작업 시 흐려 보이는 현상
- 두통 및 어지러움: 시각 정보 처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
- 학습 및 집중력 저하: 어린이 및 청소년의 경우 학습 효율에 부정적 영향
- 공간 지각 능력 저하: 자동차 운전, 스포츠 활동 등에 문제 발생
💡 기능의학적 진단 방법
양안시 기능이상은 단순한 굴절 문제를 넘어 신경-근육 조절, 감각 통합, 대뇌 시지각 경로(Ventral & Dorsal Pathway) 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검사들을 수행해야 합니다.
✅ 1. 기능적 시각 평가 (Functional Vision Testing)
- 양안 협응 검사 (Binocular Coordination Test): 프리즘 검사(Phoria Test), 융합 범위 검사(Fusion Range Test)
- 안구 운동 검사 (Oculomotor Testing): 도약 운동(Saccades), 추적 운동(Pursuits), 고정 유지(Fixation Stability)
- 조절 기능 검사 (Accommodation Testing): 근거리-원거리 조절 유연성 검사, 조절 지연 검사
✅ 2. 시각 정보 처리 검사 (Visual Processing Testing)
- 깊이 지각 검사 (Stereopsis Test): 랜덤닷 입체시 검사(Randot Stereotest)
- 주변 시야 처리 검사 (Peripheral Awareness Test)
- 눈-손 협응력 검사 (Visuo-Motor Coordination)
✅ 3. 신경학적 및 대뇌 시각 경로 평가
- VEP(Visual Evoked Potential) 검사: 시각 경로의 신경 전달 상태 평가
- 뇌파 검사 (qEEG, Neurofeedback 기반 분석): 시각 정보 처리와 연관된 대뇌 기능 평가
- 자율신경계 검사 (HRV, 미주신경 기능 평가): 시각 피로 및 시각-전정(Vestibular) 연계 문제 확인
📌 기능의학적 치료 방법
양안시 기능이상이 수술로 교정되지 않는 경우, 기능의학적으로 접근하여 신경 가소성(Neuroplasticity)을 활용한 전문 재활이 필요합니다.
✅ 1. 시각 신경 가소성 훈련 (Neuro-Optometric Vision Therapy, NOVT)
뇌의 시각 정보 처리 능력을 개선하는 훈련.
✅ 2. 감각 통합 및 전정-시각 조절 훈련
양안시 기능 이상은 전정계(Vestibular System) 및 고유수용감각(Proprioception)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 전정계-시각 협응 훈련 (Vestibular-Oculomotor Training, VOT)
- 고유수용감각 강화 훈련 (Proprioceptive Training)
✅ 3. 기능성 영양 치료 (Functional Nutrition for Vision)
- 신경 전달물질 및 미토콘드리아 대사 개선
- DHA & 오메가-3 (시신경 및 시각 정보 전달 강화)
- B12, 마그네슘, CoQ10 (신경 근육 기능 조절)
- 루테인 & 제아잔틴 (망막과 시신경 보호)
- 항산화 및 염증 조절
- 퀘르세틴(Quercetin) (망막 염증 감소)
- 아스타잔틴(Astaxanthin) (황반 기능 강화)
✅ 4. 신경 가소성 촉진을 위한 자극 치료
❓ Q&A: 시력 저하와 기능의학
Q1. 교정 시력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 어떻게 접근해야 하나요?
➡️ 단순한 굴절 교정 외에도 조절 기능 검사, 양안 협응력 평가, 시각 정보 처리 검사를 포함한 기능적 검사가 필요합니다.
Q2. 특정 영양소가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나요?
➡️ 네, 비타민 A, D, E, 오메가-3, 루테인, 제아잔틴 등이 시각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3. 시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생활 습관은 무엇인가요?
➡️ 장시간 근거리 작업을 피하고, 20-20-20 규칙(20분마다 20초 동안 20피트(약 6미터) 거리 보기)을 실천하며, 영양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결론: 시력 저하는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시력 저하는 단순한 안경 도수의 문제가 아닙니다. 굴절 이상, 양안시 기능 저하, 시각 정보 처리 문제 등 다양한 기능의학적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시력을 교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기능 문제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눈 건강을 위해 단순히 안경을 맞추는 것에서 벗어나, 생활 습관 개선과 기능적 평가를 병행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보다 선명한 시야와 편안한 눈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추가적인 연구 자료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lobal Vision Report: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world-report-on-vision
-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AOA) Binocular Vision Guidelines: https://www.aoa.org/?sso=y
- Neuro-Optometric Rehabilitation Association (NORA): https://noravisionrehab.org/